728x90

쓰기 전에 다짐

1.일에 대해서만 쓰고 사람에 대해서는 쓰지 않는다

2.고객에 대해서는 아예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하지만 전 직장에 대해서는 알 게 뭐냐 ㅋ

또 설명충 들어가자면 라떼 어쩌고는 작년에 잔잔바리로 유행하던 밈이었는데 꼰대들이 직장 후배들한테 '나때는 말이야...'를 하도 해 대니까 그걸 음차해서 'latte is horse...'라고 하는 거였죠. 이제 유행 단물 다 빠졌습니다. 저는 이제 40대 중반에 접어든 훌륭한 세미 꼰대로서 알바처에서 전 직장 얘기는 가급적 안 하고자 하지...만, 듣고 있는 분들 생각은 또 다르겠지요 ㅋ

이 인간이 3월 말까지는 바쁘다고 했는데 왜 일하기 싫다며 글은 써제끼는 것인가 하시겠지만 바쁜 거 맞습니다. 대충 해보자면 지금은 일주일에 90시간 정도 일하는데요, 아마 다음주부터는 100시간으로 올라갈 것 같습니다. 이제 차 타고 출장처 이동하면서 '이동하는 시간에 노트북으로 일하면 조서 시트 두개쯤은 끝내겠는데 아 시간 아까워...'하는 생각이 드는 걸 보면 바빠진 거 맞아요. 지난번에 국내선 기내에선 노트북 꺼내서 실제로 일을 좀 했었습니다. 마침 기내가 흔들려서 눈은 좀 나빠졌지만 시트 하나는 끝냈고 옆 상사에게는 바쁘다는 훌륭한 시위가 되었습니다 ㅋ

그런데 왜 일할 시간에 이런 건 쓰고 있냐면...전 직장 얘기를 또 끄집어내자면 '대기 야근'과 '갑님에 의한 갑작스런 일정 변경'이라는 게 있습니다. 조직과 조직이 공조하면서...아니 솔직히 갑한테 쥐어짜이면서 일을 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자료를 받아야 일이 진행되며, 갑님의 수정 의견을 받아야(컨펌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또) 한 단계 앞으로 나갈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갑님께서 이미 세팅되어 있는 업무 일정을 훅 다음을 기약못하게 날려버리시는 일은 허다한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최종 납기일은 앞으로 훅 땡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안 알려줍니다. 나중에 어째어째 흘려듣다 보면 또다른 슈퍼갑이 훅훅 땡겨서 순차적으로 땡겨지는 케이스가 많죠. 그리고 슈퍼갑 헤드에선 글쎄요... 뭐 최종 갑에게 보여주기를 빨리 하기 위해 앞뒤 생각없는...아니 거국적인 결단을 내렸겠죠.

https://twitter.com/TheBig4Tweets/status/1230352589146988544

제가 트위터에서 팔로잉하고 있는 big4accountant님의 최근 트윗입니다. 이제 지겨운 설명충 모드로 또 들어가자면 big4는 글로벌 4대 회계법인을 말합니다. 이 분은 미국 글로벌 4대법인의 매니저 회계사인듯 한데, 시즌 전에는 적당히 순한맛 정도였던 냉소주의가 시즌 중에는 핵불닭맛까지 올라갑니다. 번역하자면,

블룸버그 : 우리는 법인세신고를 다음주에 할 거고, 발표도 그때 할 거야(해맑)

세무기장대리인 : (... 대충 조던 필 감독 식은땀 흘리는 짤)

갑님은 거국적 결단을 해맑게 하시고, 돈 받고 일하는 대리인은 쥐여짜이는 거죠. 아직 저는 세무대리는 안 합니다만 나중에는 할 수도 있습니다. 뭐 지금 회계감사하는 입장도 크게 다르진 않네요.

근데 일정을 훅 땡기면 거기에 맞게 자료를 빨리 주냐...그건 또 다른 문젭니다. 그리고 저는 스물스물 과거 회계팀, 그러니까 감사받을 때의 추억팔이에 잠겨듭니다...

과거에 제가 회계팀 있을 때는 회계법인에서 분기별 감사를 주 5일 왔었고, 그때그때 요청하는 자료 대응을 위해 그들도아주 늦게까지 야근하고 그들보다 저희는 더 야근해야 했었습니다. 밀레니엄 초반기에는 김기춘 할배가 사랑하는 '야근의 상시화'가 미덕이었을 시절이었으니까요.(지금도 일부 꼰대들에게는 미덕이지만 그때는 지금과 농도가 달랐습니다) 문제는 제가 담당하는 지분법, 연결회계 쪽은 피라미드 최상단의 구조라 자회사들로부터 회계자료가 와야 저도 대응이 가능한데 일단 100% 자회사들 중에 상당수는 시차가 10~12시간 있는 곳이라 하루는 되어야 뭐가 오고, 자회사 담당자들은 졸랭 회계와 리스크를 천시하는 구조답게 해외법인 전입 막내를 무조건 배치해놔서 잘 모르는 경우도 많고 뭐도 잘 안 맞고...

차라리 그래도 100% 자회사는 나은 편이었어요. 구회사는 어른의 사정에 따라 처치곤란한 구조조정 비금융업종 거대기업들을 줄줄이 지분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분들은 일단 그분들 밑단에도 해외의 손자회사, 증손회사들을 결산해야 자기들 결산이 끝나고 거기다가 대주주에 대해서 자기들 주인이라고는 1도 생각을 안 하고, 그 소속의 말단 행원(넵, 저는 대리 되기까지 7년 2개월 걸렸습니다) 따위한테 뭘 제때 줄 생각은 안 하고 해서 그 회사 관리하는 영업 부서에 읍소를 해도 뭐 먹힐까말까하고...

아 파생상품도 했었는데 그건 그거 나름대로 또 문제가...

그 회사 다녔다고 하면 '오오 갑질 좀 했겠네'하는데 개나 주라고 해요.

아...근데 자료 언제 오냐. 일단 다른 회사부터 좀 하고 있어야겠다.

요약하자면,

-나때도 힘들었던 건 아는데 그래도 님들 자료 언제여...

-끝-

728x90

알바는...아 네... 일정이 미친듯이 변하고 있습니다. 하다하다 금토에 감사를 가고 일요일은 또 뭐 다른 데를... 어쩌겠어요 그냥 해야지. 사무실에서 조서 쓰다가 또 모 익명사이트 게시판에 5분만에 글 썼습니다. 전 참 관종이에요.

=========

어제 일하기 싫어서 잠깐 쓴 글이 생각보다 반응이 좋아서 으쓱으쓱하다가 남들 다 아는 정보 하나 더 뿌리고 감.

공무원, 공기업, 공공기관 및 유사업종에서 상사들의 눈높이에 맞춘 보고서만 쓰다 보면 오히려 아주 어렵고 정제된, 그리고 중립적인 표현에 익숙해져서 일반 대중에게 어려운 정책이나 이슈를 해명하는 게 어려워질 수 있음. 또다른 번역이 필요하단 얘기죠.

그 때 필요한 게 각종 정부 부처의 '사실은 이렇습니다' '해명자료' 카테고리. 뭔가 첨예한 이슈가 일어나서 대중들이 오해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 눈높이에 맞춰서 조근조근 설명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음.(사실은 설명을 잘 해서 대중의 오해를 풀었다기보다는 상사들을 만족시켰다는 거지만 뭐 그게 그거죠...)

http://www.moef.go.kr/nw/nes/notice/notice.do?bbsId=MOSFBBS_000000000241&menuNo=4010300 (...네...탈 공노비한지 1년 8개월이 되었지만 눈감고도 들어가요...자폭)

그리고 하나 더. 사기업 섹터에 있어도 분인 본야의 정부 정책 변화는 언제나 잘 캐치하고 있어야 함.

http://whatsnew.moef.go.kr/mec/ots/dif/main.do (기재부가 정부 각 부처들을 신나게 쪼아서 만든 2020년 정책 홈페이지) 각 산업, 부처별 정책 변동 뉴스 바로 검색 가능. 오른쪽 상단에 보면 연도별로도 볼 수 있음.

물론 쉽게 쓴 거라서 전문적인 정보를 보자면 법령이나 각 정부부처 공식 기획 자료로 들어가서 다시 봐야 하지만, 빠르게 감 잡거나 보고서 쓸 때 바로 복붙하기 좋...(...)

http://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MOSFBBS_000000000028&menuNo=4010100&searchNttId=MOSF_000000000031338

이건 2020년 바뀐 정책 풀버전 pdf본+인포그래픽. 만드느라 엄청 고생했을 것 같음. 각 분야의 공노비들 힘내여 흑흑....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들어가면 비슷한 지자체별 정책 쉬운 설명글도 다 올라와 있음. 고생했어여 ㅠㅠ

일 때문이 아니라도 생활인으로서 바뀐 복지라거나 생활정보(주차위반 벌금이 올랐다거나 뭐 그런...) 아는 데 좋음.

정부, 기획재정부, 정책 바이럴 아님. 바이럴일 경우 전 직장 마지막 상사 머리숱 다 없어짐.

728x90

또 일하기 싫어서 모 익명사이트 모 게시판에 5분만에 쓴 글.

==========

나는 공노비로 1n년 살다가 사기업으로 이직한 사람인데(...이런저런 속사정이 있었음)

공무원이나 공기업, 공공기관에서 쓰는 개조식('금일 하기 사항을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음' 이런 식으로 쓰는 거) 보고서를 공공 섹터 말고도 사기업에서도 써야 되는 경우가 꽤 있음. 예를 들자면 공공 섹터가 갑이고 사기업이 을인 경우 갑이 바로 보고 활용한 양식대로 써주면 여러 모로 향후 관계에도 편함

근데 한자식 표현도 많고 어렵잖아...일단 괜찮은 샘플을 여러번 반복해서 익숙해지는 게 최고임.

본인 속한 사업마다 정부 부처 홈페이지가 있을 거임. 거기 '보도 자료' 들어가면 현안 사항들에 대해서 정부에서 기자들이 바로 쓰라고 조목조목 설명한 보고서들이 많음.

보자...나는 경제공노비였으니까...

http://www.moef.go.kr/nw/nes/nesdta.do?bbsId=MOSFBBS_000000000028&menuNo=4010100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url을 아직도 외우고 있는 내가 싫다...)

http://fsc.go.kr/info/ntc_news_list.jsp?menu=7210100&bbsid=BBS0030 (금융위원회 url을 아직도...이하동문)

https://www.fss.or.kr/fss/kr/promo/bodobbs_list.jsp (금융감독원...이하생략)

여기서 공무원들이 좋아하는 보고서 양식, 정제된 어휘, 어법 등등을 볼 수 있음.가장 쉬운 예로 '가격 인상'이라고 하지 않고 '가격 조정'이라거나 '혁신' 남발이라거나 '연착륙' 사랑이라거나....(...)

같은 홈페이지 다른 카테고리 '정책 자료'는 그들 취향의 기획서 쓸 때 유용함. '해명 자료' '사실은 이렇습니다'는 고객 앞 해명할 때 유용.

믿기지 않는 얘기지만 그들의 뒷수고를 덜어줄 경우 향후 편의를 봐 주는 경우도 생김.

이만 현 사노비는 일하러 감.

728x90

오늘 아침에 출근하기 싫어서 개비적거리다가 모 사이트 모 게시판에 3분만에 쓴 글입니다. 약간 부가해서 올립니다.

저는 애초에 오프라인에서는 제 정치사회적 견해를 잘 드러내지 않습니다. 뭐 딱히 부끄러워서라기보다는 안 그래도 이미 인생이력이 좀 특이해졌는데(아 실직한 노처녀 그거 말입니다) 더 특이해보이는 사항을 추가하기 귀찮아서요.

사실 온라인에서도 그다지 진실하진 않습니다. 뭐 사람이 속속들이 진실해서 어따 쓰겠어요...
————
여성구직자가 면접 전에 체크할 사항

1.사업보고서가 공시될 정도의 큰 직장(상장/등록, 금융업 등) : dart 들어가서 여성직원 평균연봉 찾기

http://dart.fss.or.kr
에서 해당 기업 사업보고서를 찾는다.
8. 임원 및 직원 등에 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의 현황
에서 성별 근속연수, 여성 평균연봉을 찾는다.

남성연봉과 여성연봉이 심하게 차이나면 거를 요소 추가. 대우는 돈으로 표현됩니다. 아니 하는 일이 다르고 근속연수가 다르고 웅앵웅...

직무가 다르다? 여성한테는 가치가 낮은 직무가 주로 주어진다는 거.

근속연수가 다르다? 오래 못 다니는 분위기임

2.마찬가지로 공기업은 알리오 들어가서 근속연수와 여성 평균연봉 검색

3. 1,2 없을 경우- 면접에 여성 직원이 보조나 세팅 말고 실제 면접관으로 얼마나 있나 체크. 면접관은 회사에서 인정받는 중견 관리자거나실무 에이스인 경우 많음.

단, 한 명 있는데 사장님 딸이면 낭패.

사무실 안에 기존 여성 직원들 나이, 복장 따로인지, 포지션 체크.

나는 그런 여성들과 다르다, 왜 취업힘든데 여자라는 걸 꼭 그렇게 체크해야 되냐 하지만 제각기 다른 개성 능력 빼고 여직원으로 몰이당해서 직무 주고 연봉협상하고 승진시키는 거 백만개 봤구요...

취업 안 되는 시대라도 볼 건 봐야 함. 여자는 블랙기업 거를 때 필터 하나 추가인 셈.

——
시대는 변하고 있고, 그나마 갭이 적은 일부 대기업과 외국계, 일부 공공기관만 택한다면 혁신은 없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변화 속도는 언제나 내 재직보다 느립니다. 지금 그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는 그 직원들이 면접자의 가까운 미래입니다.

하나 부가하려다 이슈가 될 거 같아서 안 쓴 사항이 있다면, 한국 사기업에서 젠더 갭을 줄이는 건 오너의 의지가 제일 큽니다. 삼성에서 90년대 초반에 대졸 여성 공채 뽑았을 때 그 분들이 이렇게 오래 갈 거라고는 본인들도 그다지 믿지 않았을 겁니다.

-끝-

728x90

저번에도 써먹은 적 있는 '여전한 건 여전하구나...'라는 건 구남친 밈에서 비롯한 건데요, 예전 구남친 밈이 새벽 두시에 전화와서 '자니...?하는 거였다면 요즘 구남친은 인스타의 구여친의 일상글에다가 쓸데없이 리플을 답니다. '파스타 좋아하는 건 여전하구나' '추위 타는 건 여전하구나' 뭐 이런 거 말이죠. 하도 그러다 보니 '여전한 건 여전하구나'로 퉁치는 거죠.

여러번 언급했습니다만 저는 구회사를 예상보다 20년 8개월 먼저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실은 이래저래 그 예상기한을 훨씬 더 앞당기게 되긴 했습니다만ㅋ 어쨌든 회사 경력은 그 회사 하나 뿐이기도 하고, 그만 둔 후에도 1분기에 한번씩은 꼭 자다가 구회사에서 다시 일하는 꿈을 꾸곤 했습니다. '네년이 퇴직했다고 생각했던 건 착각이고 실은 휴직이었다!이제 계약직으로 네년이 마지막으로 하던 일을 다시 하도록 해라!' 뭐 이런...개같은...하면서도 꾸역꾸역 일을 하던(이게 포인트죠) 중 잠을 깹니다. 자도 잔 거 같지 않아요.

구회사가 제게 구남친적으로 질척거린다는 망상을 하는 건 아닙니다.(아마 오히려 그 반대겠지요 ㅋ 저는 그다지 쿨하지 못한 인간이니까요) 당연히 대한민국의 조직이 그러하듯이 그 조직은 직원 하나가 예상보다 더 빨리 퇴직하든 말든 잘 굴러갈 것이고, 실제로도 잘 굴러가고 있습니다. 몇몇 직원들이 뭐 그런 직원이 있었다 정도로 기억을 할 수는 있겠죠. 그러나 저는 그랜저 광고의 박차고 나간 박차장처럼 그랜저를 새로 장만해서 나간 것도 아니라서(있던 차도 팔았음) 뭐 그리 대단한 기억을 남긴 것도 아니구요. 결국 이 모든 것은 구회사에 대한 저의 무의식의 표출일텐데... 일련의 네다섯번 꿈을 종합해 본 결과, 이 꿈은 대한민국의 상당수 예비역들이 꾼다는 '군대 두 번 간 꿈'과 일맥상통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사실 회사를 나가는 과정도 꽤나 원만하고 평범했습니다. 일본 드라마나 뭐 그런 데서 나오는 대로 괴롭히는 상사를 크게 망신주고 사이다 대사를 쏘아주고 그런 일은 현실에서는 매우 드뭅니다. 더 좋은 조건으로 렙업해서 나가지 않는 한은 불만이 있어서 나가는 것일텐데 그걸 멋있게 복수하지 않는 것은, 현실은 회사와 회사, 업계와 업계가 긴밀히 이어져 있으며 reference check와 평판이 몇 다리 안 건너는 좁은 바닥이거든요. 저는 지금 아주 먼 지방에서, 동종은 아니지만 연관은 있는-정확하게 말하면 갑과 을-업계쪽에 있으니까요. 뭐 딱히 오래하고 싶은 생각이나 잘 해보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만 남은 세월 동안 일이 어떻게 풀릴지 모르니 말이죠.

나간 후 띄엄띄엄 만나는 사람들에게서 구회사의 근황을 듣습니다. 제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니던 시절과 여전합니다-여전한 건 여전하구나

다니던 시절보다 좋아졌습니다-저 다닐 때 좀 그러지 그랬어요

다니던 시절보다 나빠졌습니다-아직 그런 얘기는 없습니다. 발전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제 하다하다 알바처의 공문으로도 구회사의 근황을 전해듣습니다. 하나는 업계 자세한 얘기라 언급을 안 하겠지만 좀 뿜기는 얘기였고(...) 두번째는 다음과 같습니다.(이 문제는 일반적인 사항이라 언급해도 괜찮습니다)

경영평가성과급은 퇴직금 산정시 최근의 대법원 판결(한국감정원 2015두36157 2018.10, 한국공항공사 2018다231536 2018.12, 한국주택보증공사 2016다 239680 2018.12, 한국전력기술 2018다270753 2019.10)에 따르면 근로의 대가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경영평가성과금은 퇴직금의 기준이 되는 평군임금에서 제외한다"라는 기존의 예산편성지침을 개정(2019.12.4)하여 각 기관별로 보수체계의 특성을 감안하여 결정하도록 보도자료를 배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각 기관별로 노조가 유사한 소송을 제기하여 재판이 진행중인 기관도 있고 소송까지 제기하지 않은 기관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바 기재부장관이 매년 발표하는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지침에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성과급의 예산 편성에 관한 내용이,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집행지침에는 경영실적 평가결과의 후속조치로서 확정된 기준에 따라 공공기관 경영평가성과급을 산정지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의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은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서 경영실적 평가결과에 따라 경영평가성과급을 지급하는 시기, 방법, 조건등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어 KIFRS는 1037 문단14와 KIFRS 1019 문단 61에 근거하여 기관별과 달리 회계처리할 이유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각 기관에 따라 배당금지급 여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감사원 감사의 지적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리 법인의 공공기관 감사에서는 일관되게 회계처리가 될 수 있도록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 공문 내용을 보고 '여전한 건 여전하구나...'하고 한동안 끅끅대고 웃었습니다. 설명충 얘기 들어가자면 다음과 같아요. 제가 퇴직하기 직전에 하던 일은 공공기관에서 급여를 기획하는 쪽이었어요. 공공기관에서는 1년에 한 번, 직전년도의 기관 경영평가를 소관부처에서 실시하고 그 평가등급 결과를 반영하여 전 직원에게 경영평가성과급을 지급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정부의 지침에 따라 1년치 인건비 예산을 짜고 촘촘하게 관리하는 것도 그 팀 일이었어요. 또 다른 일이었던 퇴직금 산정에는 당시 기준에선 경영평가성과급이 평균임금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근데 제가 나간 다음에는 공공기관에서 소송을 제기하면서 분위기가 조금씩 달라지더군요. 마침 구회사 노조에서도 소송을 추진하길래 저도 자료를 보냈습니다. 자료는 고스란히 제가 있던 팀으로 가겠죠. 팀에서 저와 같이 일하던 양반들ㅋ은 제 자필서명을 보면서 '잘 지내는 모양이네'하고 웃으면서 돌려보셨던 모양입니다. 뭐 모르면서 좋을 대로 말하는 건 여전하구나 ㅎ

세월은 그때로부터 1년이 더 지나갔고 이제 2019년도 회계감사 시즌입니다. 2019년에 각 공공기관별로 직원들 퇴직금이 적정하게 산정되었는지를 쪼렙 회계사들은 검증해야 하고, 그 때 퇴직금의 베이스가 되는 평균임금에 경영평가성과급이 들어가야하는지가 중요 이슈 사항입니다. 공공기관 특성상 직원들 근속연수가 길어서 산입 여부에 따라 굉장히 큰 금액이 달라지거든요.

'너네 거의 다 소송중인 거 안다. 그러니 예전처럼 정해주진 않겠다. 너네 리스크는 너네가 지고 잘 판단해라'는 지침을 내린 기획재정부도 여전하고, 예산을 심의하는 금융위원회도 여전했을 거고, 진행단계인 소송을 가지고 어쩌라고 하면서 모종의 결정을 작년 11월쯤 내렸을(저는 아마 그 결정을 알 것 같습니다) 예전 팀의 그 양반들도 여전했을 거고...

그저 모든 것이 여전한 건 여전하군요. 근황 잘 알겠습니다. 웃다가 이제 전 구회사와 드디어 이별하게 된 것 같습니다. 여전하세요.

덧. 알바를 시작한 후에는 구회사에 다시 일하게 되는 꿈은 아직 꾼 적이 없습니다. 알바의 순기능이라 할 수 있겠군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