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원제: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저자: 김성우, 엄기호

출판사: 따비

출간일: 2020년 4월

 

 

저는 출판업계 마케팅에 아무 도움도 주지 않는 주제에 가끔씩 책 이름 짓기에 대한 험담을 하곤 합니다. '도대체 이렇게 이름을 지어서야 누가 본단 말이야...'하면서 투덜거리면서 읽죠. 그리고 또 혼자 숨은 진주를 찾은 상인마냥 전 재산을 팔아 다 사제끼는...(아 그냥 예수쟁이만 웃긴 개그입니다) 건 아니고 곱게 내려놓고 다시 투덜거립니다. '책 이름만 좀 섹시하게 바꾸면 팔리겠는데 아쉽네'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는 그런 의미에서 제가 꽤 만족스럽게 끄덕거리면서 책을 집어든 사례입니다. 옆에 책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유튜브의 발흥과 텍스트의 쇠퇴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주목할 만한 물음이거든요. 그리고 아마도 저자들이 진짜 얘기하고 싶은 주제인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는 부제로 빼 놓고, 제목보다 덜 돋보이는 색으로 빼는 센스까지 보였습니다.

 

저자와 구성 탓을 하자면, 대담 식으로 쓴 책은 요약하거나 기승전결식으로 감상을 쓰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중구난방식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숫자로 나열해 보겠습니다.

0. '문해력'이라는 좋은 한국어 표현이 있는데 왜 굳이 리터러시라고 쓰지 하고 불퉁하게 들어가봤는데, 이미 학계에서 정립이 되어서 자주 쓰이는 표현은 리터러시라고 합니다.(구글 검색량까지 보여주니 할 말이 없;;;) 이 책에서는 전통적인 문자 기반 이해 및 활용, 소통 능력을 가리킬 때는 '문해력'을, 문자 뿐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의 매체 이해 및 활용력을 포괄할 경우에는 '리터러시'라고 쓰겠다고 꼼꼼히 적힌 주석을 보니 그래 ㅇㅇ 댁들 말이 옳소...

1. 공저자들은 학력고사를 쳤다고 하고, 모두 인문학 또는 언어 교육을 전공한데다 그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하고 있으니 40대 후반 혹은 그 이상의 언어 전문가일 겁니다. 이 사람들이 한국의 세대별로 텍스트와 미디어를 받아들이는 정도에 대한 이론은 꽤나 심플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만 이 사람들의 세대, 40대-50대에 낀 사람으로서 좀 말을 얹고 싶은 게 있습니다.

1-1. 한국에서 모국어 텍스트에 대해서 최초로 공교육을 받고 시험으로 이를 주입받은 세대는 40-50대입니다. 그 이전 세대는 광범위한 공교육의 세례를 받지 못해 사실상 구전 문화권에 속해 있다가 최근에 카톡, 유투브 등 뉴미디어를 접하고 정치관 등의 자기 이야기와 소통을 하다가 자식 세대의 빈축을 사고 있죠. 그리고 40~50대 및 세대들은 태어나자마자 혹은 청소년기에 영상을 접하고 네이티브로 다룬 세대들인데 이들은 '시험을 위해서는 텍스트를 읽고 여가와 오락, 소통을 위해서는 뉴미디어를 이용하는' 세대들입니다. 40~50대가 이 위아랫세대들의 리터러시에 대해 개탄만 할 게 아니라 소통과 사회 인프라로서의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자 여러 방법론을 이야기 합니다. 그런데...

 1-2. 텍스트를 주요 기반으로 하는 40~50대도 뉴미디어에 급속도로 경도되는 것이 (저 포함해서) 보입니다. 공저자들도 언급했듯이 긴 책을 읽고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은 고통스럽기까지 한 깊은 사유를 필요로 하고 훈련을 필요로 하니까요. 하지만 뉴미디어는 단편적이고 즐겁습니다. 사람은 언제나 도파민이 바로 팍팍 나오는 대상에 빠져들기 마련이죠. 한국의 세대들도 세대별로 분명한 층위를 나누기보다는 이분들이 주장하는 일종의 스펙트럼으로 봐야 되지 않나 싶어요. 그리고 그 스펙트럼에서 저같은 장삼이사 4~50대는 이미 문해력 문장력이 떨어지는 뉴미디어의 반노예...흑흑.

2.문해력의 스펙트럼 얘기가 어쩌다가 나오냐면, 문해력 자체가 요즘 웹상에서 사람들이 키배뜨는 대상을 공격할 때 '문해력이 모자라다'라고 하는 수단이 되어버렸단 말이죠. 상대방이 문해력이 없는 경멸 대상이면 자기는 문해력이 좋은 우월한 사람입니다. 그렇게 이분법으로 맞다/틀리다가 아니라 여러가지 층위에서 봐야 할 대상이라는 겁니다. 문해력이 바벨탑이 아니라 다리-소통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작가의 말은 이 맥락과 상통합니다.

3. 요즘 커뮤니티에 대한 작가의 코멘트가 참으로 제 뼈를 때리고 2천원이 비싸졌습니다(라고 커뮤식 밈을 써서 말합니다) 사람은 대화를 통해 다른 사람과 견해를 나누고 발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작금의 커뮤니티라는 게 누군가가 대장을 나서서 장문의 글을 쓰면 '동의합니다' '2222' '3333'이라고 끝납니다 원글에서 몇가지 점에서 첨언하거나 자기와 견해가 다른 부분을 토론하는 게 없지는 않지만 결국 그러면 난장판이 돼서 뭐 할 말이 있어도 '22222'로 돌아가더라구요.

4.  다시 봐도 섹시한 이 책의 제목으로 돌아가자면 '아니다' 입니다. 텍스트의 추상성은 영상 등의 구체성과 가장 구분되는 특징이고, 각종 논문 등 학술 연구, 지식의 전파에 영상은 텍스트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겁니다. 아 근데 결국은 텍스트는 상아탑 안에 있는 사람들이 연구와 지식 집대성에 쓰는 일종의 라틴어가 되고, 뉴미디어가 텍스트를 상당 부분 대체할 수도 있는 거 아닌가...하고 다시 생긴 제 의문에 작가는 쇄기를 박더군요. '무엇이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것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것도 생각해야 한다'(아 기억력이 요즘 망했어)

5. 근데요, 역시나 교육 전문가라 긍가 균형있게 여러가지 미디어를 사용해서 이해하고 소통하는 리터러시, 말귀를 잘 틔게 하기 위해 10대~20대의 현재 한국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특히나 어떻게 '학생부'에 당근을 주면서 할 것인지도 흥미로웠구요. 하지만 60~70대, 그리고 저같은 장삼이사 30대~40대는 어쩔 거냐, 우린 버린 거냐 그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하긴 뭐 이 나이되면 교육해도 교정이 어렵긴 합니다 이제 글러먹었어(...) 이 책에서 제시된 훈련법이나 기력 있으면 좀 따라해보고 아니면 '이 미디어를 볼 때 내 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자각하라니께 그거나 해 봐야지요.

요즘 읽은 책들 중에서 무척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었습니다. 작금의 뉴미디어 세상을 살고 계신 모든 분들께 추천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