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 모 여초 익명사이트 스펙업방 네임드였던 시절 무려 2011년에 썼던 유물을 발굴해서 조금 손 봐 올립니다.
저는 옷을 무척 좋아합니다. 정장이라면 환장을 하죠. 실직한 이후 옷장에 정장들이 썩어가는 걸 보면 좀 아깝기도 합니다.
아, 그리고 새내기들한테 보수적으로 옷 입길 권했는데 정작 넌 왜 현란한 것도 입고 다녔냐 하시믄...전 보수적인 걸 베이스로 해서 좀 블링블링도 시도했을 뿐입니다. 그리고 쬐끄맣고 마른 애는 뭘 입어도 눈에 잘 안 띄니 여러가지를 뻔뻔하게 해 볼 수 있었죠.
=======
여러번 언급하였지만 저는 금융공노비로 십수년을 일한 사람입니다.
대학생으로 캐주얼한 옷을 입다가 회사에 들어와서 '응, 뭐 입지?'하고 당황해하는 여성분들이 종종 있는 것 같아서, 조언삼아 잡담을 좀 쓰려고 합니다. 제가 있던 동네가 그래서 아마 대기업/금융/공기업/남초 쪽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을 겁니다. 양해바래요.
1.어떤 스타일로 입을까?-모든 것은 코드!
금융기관을 다녔다 보니 공무원 다음으로 보수적으로 옷을 입는 편이었습니다. 여자들도 대체로 회색-검정색 등의 투피스 정장을 기본으로 하는 편이고, 치마도 지나치게 짧거나 나시는 못 입는 편이었죠.
그러나 일반기업은 또 다르고, 패션계통이나 광고처럼 개성을 중요시하는 곳은 당연히 더 튀게 입을 겁니다. it계통같은 경우는 야상에 청바지, 후드티도 잘 입고다니더라고요(구 직장도 최근에 캐주얼 데이라고 일주일에 한번씩 캐주얼을 허용할 때도 있는데...후 그때 사람들의 스타일은 처참함. 그냥 정장이나 입고다녀 이것들아-_-)
일단 여러분은 면접을 보면서 정말 심심하고 신뢰가 가는 검은색-회색 치마정장 하나는 마련을 했을 겁니다.
그리고 일단 출근을 하면서 비슷한 직급의 직원들이 어떤 옷을 입고 다니는지 파악을 했을 거예요. 일단 그 스타일에서 한 단계 살짝 조심스럽게 출발하세요. 아무래도 새로 들어온 여직원이라면 주목의 대상이 되고, 거기서 좀 튀게 옷을 입는다 싶으면 뒷말이 나오기가 쉽거든요.
대개 어떤 회사든 간에 처음 출발하는 입장이고, 거기다가 여자라면
어 참하고 얌전하게 옷입네(같은 여자가 보기엔 좀 촌스럽네)>>>>>>튀고 개성있네 이게 정답입니다. 대체로 여러분의 옷을 평가할 사람들은 좀 직급이 있는 남자들인데, 그들의 패션 센스는 참으로 일관성있고 답답합니다.(입고 다니는 옷을 보면 알 겁니다. 그나마도 자기들이 고른 게 아니고 와이프가 골라준 거예요) 사실 젊은 남자라고 해도 별로 다르지는 않습니다. 소개팅에서 호피 패션피플보다 캔디핑크 가디건에 무릎 주름치마 입고 촌스러운 부농 볼터치한 여자애가 잘 나가는 거랑 비슷하다고 보면 되죠.
그럼 내가 입던 스타일이랑 너무 다르잖아? 뭐 회사가 왜 이래? 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어 사실 그래요-_- 원래 회사는 자아실현을 하는 데가 아닙니다-_-
2.어떤 옷을 갖춰 놔야 할까?&어디서 사야 할까?
기본 구색을 맞춰봅시다.
검은색or회색 투피스 정장(봄가을, 겨울)
무릎까지 오는 심플한 원피스+스카프
흰색or하늘색 셔츠
단품 자켓
러플 블라우스 1~2개
단품 스커트 1~2개
단품 바지
바바리 코트
겨울 코트
이거 조합하면 조합 열 개는 나옵니다. 2주에 한번씩 옷 돌려입을 수 있어요.
일단 검은색/회색 투피스 정장 얘기는 했고...이 얘기가 왜 계속 나오냐면, 이게 기본이고 여기서 조금씩 변화를 주는 건데, 그래도 외부 공식 행사나 결재/보고 올릴 땐 이 복장이 젤 표준이거든요. 이거 살때 지마켓은 넣어두세요. 일단 소재가 좋고, 기본 스타일로 해야 7~8년은 입는데(정장도 은근 유행 타서 더 길게는 잘 못 입겠더라구요) 거기 정장은 정말 아니에요.
20대 중반 새내기한테 제가 추천하고 싶은 브랜드는 백화점 영플라자에 주로 입점해 있는 '라인'이나 '잇미샤' '아니스' 같은 백화점 세컨 브랜드입니다. 메인 브랜드인 '린' '미샤'는 너무 비싸고 스타일도 유행을 타지만, 세컨 브랜드들은 그렇게 비싸진 않고 소재도 괜춘합니다. '베스티벨리'나 'enc'도 무난해요. 어떤 브랜드를 살 것인가는 본인의 체형과 취향을 고려해서 고르면 됩니다. 브랜드 따라 타겟으로 잡는 키나 체형이 조금씩 다른데, 그게 옷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든요(고로 오프라인에서 입어보고 사야 함) 한섬의 타임은 키 170센티를 타겟으로 제작되고, 마인은 163센티가 딱 이쁘죠. 제가 차도녀 스타일 좋아한다고 타임이나 막스마라 입으면 망합니다. 저는 키가 작고 뼈대가 얇은데다 상체>하체 스타일이라 에꼴 드 빠리 44를 주로 샀었...습니다만 요즘 살찌고 해서 그 정장은 모셔두고 있습니다.
백화점 영플라자와 상설매장 둘 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요. 영플라자 브랜드들은 이미 가격을 어느 정도 낮춰서 나온 거고, 쇼핑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어요.(그러나 메인 브랜드는 아님;) 상설매장은 시즌오프된 메인브랜드 상품을 50% 넘게 저렴하게 살 수 있으나 돌아다니기 불편하긴 해요. 목동, 문정동, 가산디지털단지 등등 유명한 상설매장이 있는데, 1년에 두번씩 있는 세일에는 더 할인이 되니까 참고하세요.(한번 가서 물건 사면 문자가 날아옴) 예산은 경제사정에 따라 20~40만원 사이.
무릎까지 오는 심플한 원피스는 정말 하나 사 놓으면 효자 중의 효자예요. 누구한테나 잘 어울리고, 입을 거 고르기 귀찮을 때 하면 중박은 하는 거죠. 이건 의외로 여기저기서 다 살 수 있는데, 저는 동대문 제일평화시장에서 시즌 오프때 건진 3만5천원짜리 원피스를 잘샀다는 칭송을 받으면서 우려먹고 있지요. 스카프(이건 본인의 취향에 따라 고르는 거니까...저는 큰 건 어색해서 미니 스카프를 활용함)나 벨트와 같이 코디하면 좋아요.
흰색or하늘색 셔츠는 정장에 이너로 넣어도 좋고, 단품 활용해도 괜찮아요. 이건 핏이 아주아주 중요하죠.
고로 이건 핏이 잘 나오는 오프라인 가게에서 입어보고 사는 걸 추천. 지오지아같은 심심한 브랜드가 이런 셔츠는 잘 나옵니다. 타미 힐피거의 세로 스트라이프 셔츠도 활동적으로 보이기 좋고 핏도 착 붙습니다.
단품 자켓은 단품 스커트나 투피스 세트의 스커트, 바지와 두루두루 코디할 수 있는 걸로 고르세요. 이왕이면 트위드 자켓이나 단추를 쫑쫑 잠그는 숏 자켓처럼 투피스 자켓과는 확 다른 스타일이면 더 좋아요.
자...러플 블라우스(하늘하늘 나풀나풀하고 색깔도 비비드한 그런 거)나 단품 스커트는 맘대로 사세요. 어차피 이건 유행 타는 거고, 의외로 핏이 아주 중요하지 않아요(착시효과가 있거든요) 저의 경우엔 광화문이나 여의도같이 오피스가에 주로 매장이 있는 '머핀'같은 보세집에서 주로 구입했었어요. 매주 신상이 들어오고, 가격도 브랜드보다는 싼 편이에요.
바바리 코트(봄가을 코트 그거 말요)는 소재나 바느질 상태, 옷의 각이 의외로 중요하니까 신경써서 사세요. 저는 두타의 1층(여기 비쌈 읔)에서 15만원 주고 산 바바리를 마르고 닳도록 우려먹으면서 입었어요.
겨울 코트도...그래요 유행을 타죠...거기다가 비싸죠...이건 알아서...(먼산)
3.그래도 너무 고민되는데 어떤 걸 참고해야 할까?
프로젝트 런웨이의 게이 여왕님 팀건이 좋은 책을 하나 썼지요.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03087
'팀 건의 우먼 스타일' 너무 패션피플스럽지도 않고, 내일 뭐 입을까 고민하는 평범한 여성들의 고민까지 해결해주는 아주 좋은 책입니다. 가끔 양키스러운 센스가 있긴 한데 뭐 그렇게 심하진 않고(...) 요즘은 할인해서 만원도 안 하네요. 싸다 싸.
처음엔 이거 옷도 뭐 다르고 뭔가 싶긴 할 텐데, 나중엔 그 출근복이 자기 껍질같고 주말엔 캐주얼이 어색할 날이 올 겁니다. 그게 뭐 꼭 좋은 건 아닌데 암튼 계속 관심을 가지면서 안목을 키우면 저 출근 키트에서 스스로 변화를 주고, 즐길 날이 올 거예요.
그때쯤 자기 체형도 잘 알고, 변주가 가능할 때 직구에 손대시길 권해드립니다. 인간적으로 해외 브랜드들은 연간 두차례 세일할 땐 살 만한데 한국만 건너오면 너무 비싸요. 근데 한국 브랜드들도 그 동안 미친 듯이 올라서;;;
http://www.tommy.com
http://ralphlauren.com
http://www.jcrew.com
http://www.theory.com
몇몇 브랜드들은 아이피를 외국으로 우회하셔야 본국 사이트가 나옵니다.
그럼 안녕~~~저는 때려쳤지만 여러분들은 버티세요~~~
-끝-
'실직한 중년 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도 돈을 모아야 하는 절박한 이유 (0) | 2018.11.29 |
---|---|
돈 빌려주고 떼이고 도로 받는 법 (0) | 2018.11.17 |
국내외 경영경제 잡소리 조금-(6) (0) | 2018.11.11 |
국내외 경영경제 잡소리 조금-(5) (0) | 2018.11.11 |
국내외 경영경제 잡지식 조금-(4) (0) | 2018.11.11 |